검색결과 리스트
글
High-functioning Autism for Sherlock
Asperger Syndrome for Sherlock Holmes
1. 조기에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함(Ep.3 에서 어린시절부터 범죄에 관한 지식과 감각을 지녔다는 대목)
2. 조기에 발견되었으되 초기 진단시에는 아동학자, 상담학자를 거쳐갔을 가능성이 있다.
3. 첫 시작은 가정이 아니라 학습공간에서 교사의 발견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4. 자폐증과 유사한 증상으로 '자폐증' 혹은 '고기능 자폐증'(High-functioning autism)으로 진단되었을 것이다.
5. 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 Syndrome)으로 진단을 번복하기까지 비교적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6. 아스퍼거 증후군이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전체적으로 시사한다.(Mycroft)
7. 사회성의 부족을 성격적인 면모와 선천적인 특징으로 받아들여 개선하려 들지 않았다.
8. 주로 탈것과 그에 관련된 물품의 집착, 운 좋게 범죄에 대한 집착에서 아스퍼거 증후군이 발현되었을 수도 있다.
9. TV매체에서 주로 시작되었을 것이라 추정하며, 단순한 신문광고에서 높게는 범죄학까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10. 광독증 증세를 보였을 가능성이 농후하다.(Hyperlexia)
11. 심리학자는 긍정적인 면을 재차 강조하며 약물 사용을 금기시했다. 행동발달에 있어 개선책이 아닌 협상책을 내놓았을 가능성이 있다.
12. 해당 협상책은 취미책으로 삼으며 직업적인 면까지 발달 가능한 영역이었으나 결코 객관적인 방향은 아니었다.(범죄학&심리학)
13. 심리적인 지식과 응용은 해당 심리학자로부터 전해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14. 사회성이 부족하나 친근한 관계를 맺은 전례가 없으므로 다른 사람의 심리를 이해하지 못하는 척도가 비교적 높다.
15. 그러나 낮은 척도가 사회성을 높이고자 하는 욕구를 저하시키는 요인은 아니다. 기존 틈을 만들어 시작하고 나면 사회성 욕구가 발현된다.
16. 사회성 욕구의 발현은 비단 여러사람의 친절이 아니라 좁고 깊은 한 사람과의 친분에서부터 시작된다.
17. 해당 사회성 욕구의 발현 조건 중 하나는 해당 관계의 사람이 깊은 이해심으로 끝까지 곁에 있으며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18. 사회성 욕구가 발현되면 이제가지 충족시키지 못한 행동발달과제가 뒤늦게 수행되어 초반에 여러 문제와 마찰이 생길 수 있다.
19. 소유와 관계의 차이, 양보와 이해등의 기초적인 사회적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20. 어느정도의 기반을 잡아둔 이후의 관계 지향은 상대자의 인격과 성품에 달려있다.
21. 해당 관계자외의 다른 이들과의 관계는 다시금 16~20까지의 과정을 요구한다.
22. 폭력적인 면모는 창조와의 상대적 유용성에서 비롯된다. 다른 정신질환 이하 성격장애에서 나타나는 폭력적인 면과 상이하다.
23. 자동차및 기계를 조종하지 못하는 것은 해당 기기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운전으로 인한 피해때문이 아니다.
24. 외모에 신경쓰지 않으나 옷차림은 주변에서 도와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오로지 몰두하는 영역에서 유용한 것만을 필요로 한다.
25. 마른 체격과 큰 골격의 이유는 어린 시절부터 몰두하는 영역을 위해 뛰어다녔기 때문이며, 타인의 체격에 대해 굳이 신경쓰지 않는다.
26. 만일 그게 상대자라 할지라도 유일한 이유는 사건을 쫓을 때에 비효율적이라는 단점 때문이다.
27. 관계가 더욱 깊게 지속되거나 심화되는 것은 전적으로 상대자에 달려있지만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
28. 한 가지에 몰입하는 대상이 상대자가 되어서는 안되며 가장 좋은 조건은 같은 일을, 상대자가 함께 행하는 구도이다.
29. 심리학에 대한 지식이 사회병질자와 분열성성격장애, 그리고 아스퍼거 증후군의 차이를 가늠할 수 있게 한다.
30. 해당 심리학에 기초한 진단은 한 사람의 인격에 맞추어 작성된 것이며 오진된 부분이 있음을 명시한다.
'Analysis > Sherlock Holm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perger Syndrom for Sherlock (0) | 2011.10.03 |
---|---|
뻔하지만 그래도 작성 (0) | 2010.12.15 |